프로페셔널에 대한 반감 혹은 아마추어에 대한 과도한 애정은 나의 오랜 습벽이다. 게으름에 대한 변명으로서 나는 박민규의 ‘삼미수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을 들이 밀고 열심히 일하지 않는 것에 대한 핑계로 늘상 ‘짧은 인생 일만 할 것이냐’ 고 대들면서 적당하면서 너무 힘들지 않게 살아 왔고 이런 삶에 크게 후회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우물을 깊게 파서 무엇인가 一家를 이룬 사람들을 보게 되면 가슴 한 켠이 뻐근해진다. 그것은 회한이거나 후회 혹은 미련 같은 감정들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나 같은 사람들이 공통으로 느끼는 어떠한 증상일진대 마치 무림의 高手를 우연히 만나게 되면 느껴지는 감정일지도 모르겠다. 존경과 질투 그리고 나도 어떤 일이든 한 계단씩 집요하게 밟아 올라왔으면 그의 위치 비슷한 어디쯤 위치하지 않을까 하는, 다시는 오지 않을 시간에 대한 억울함 같은 것.

부산 여행 중에 들른 싱글 몰트 바 모티(Mottie)는 모퉁이를 뜻하는 부산말이라고 들었다. 이 작은 술집은 부산의 대표적 산복도로인 망양로에 위치해 있다. 어쩌다보니 아직도 수동 변속기 차량을 운전하는 나로서는 부산 산복도로의 악명을 익히 들어 왔다. 산복도로란 산의 중간으로 난 도로를 뜻한다. 가파른 경사를 따라서 한 편으로는 작은 건물들이 옹기종기 서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신기루 처럼 바다가 내려다 보인다. 산토리니가 이런 모습일까, 포구 기슭의 마을 풍경이 좋아서 일부러 찾아다녔던 묵호의 논골길이나 영덕의 강구항 같은 이름이 떠올랐다. 아름다운 길이지만 눈이 오면 낭패라고, 나그네는 생각했다.

그 길의 중간 쯤 빨간 벽돌로 지어진 건물에 술집이 숨어 있다. 자정을 향에 달리는 늦은 밤, 도로는 한적했고 비가 며칠 내렸던 탓에 하늘은 습기를 머금어 마치 안개가 낀 것 같았다. 바다가 보이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바다가 있을 도로 너머를 바라보면서 나는 이곳이 무척 이국적이라고 느꼈다. 그리고 달이 떴으면 완벽하겠다는 생각을 하는데, 부웅 엔진음을 내면서 마치 타임머신처럼 이곳에 나를 데려온 택시가 산복도로를 빠르게 미끄러져 내려갔다. 이제 어떻게 돌아가지, 나는 막차를 놓친 여행자처럼 막막한 기분이 들었다.

낯선 도로에 내린 나그네는 빨간 철문을 바라보면서 인터넷에서 읽은 주인장의 술에 대한 해박한 지식 따위는 사실 별 관심이 없었고 이런 곳에 술집을 낸 사람이라면 이미 졌다는 생각을 했다. 나는 절대 고수의 집을 어렵사리 찾은 떠돌이 수련자처럼 주눅이 들어 철문을 슬쩍 밀었는데 철문은 역시 쉽게 열리지 않았다. 할 수 없이 전화를 걸어 술을 마시러 왔다고, 그러니까 술 한번 마시겠다고 머나먼 서울에서 밤 안개가 핀 산복도로 앞까지 달려와 철문 앞에 서 있는데 문이 잠겼노라고 읍소하니 안쪽에서 계단 밟는 소리가 몇번 들리더니 이윽고 철컹, 철문이 열렸다.

어느 블로거가 ‘금주령을 피해 몰려든 주당들의 아지트’ 같은 느낌이라고 썼지만 나는 이곳이 레지스탕스나 아나키스트 혹은 독립운동가들의 은둔처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주인장은 계단을 조심하라고 주의를 주면서 술집은 지하에 있다고 알려줬다. 보통 이런 술집을 찾는 사람들은 이미 전작이 있었을 것이고 취기 때문에 앞을 잘 보지 않으면 계단으로 그대로 떨어지기 안성마춤이었다. 나중에 들으니 만취 손님은 사절이라고 했다. 대여섯 걸음 계단을 내려가니 어두운 조명의 술집이 나타났다. 테이블이 있기는 했으나 유명무실했고 주인장이 서빙하기 편한 구조의 바가 전면에 배치되어 있었다. 바의 뒷편 그리고 측면에는 나 같은 위알못, 그러니까 위스키는 알지 못하는 이들은 이름과 종류를 알 수 없는 술병들이 마치 진시황의 병마용처럼 무심하게 진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주인장의 취향을 알만한 여러가지 오래된 소품들이 여기저기 놓여 있었는데 그것들은 모티의 어두운 조명과 어울어져 이미 오래된 풍경처럼 보였다.

술을 좋아하지만 위스키나 꼬냑 같은 술에는 문외한인지라 나는 주인장에게 전권을 위임했다. 세심하게 비이커로 계량을 하고 조심스레 서빙하는 주인장과 몇마디 나누면서 느낀 점은 우선 그가 굉장이 매력적인 목소리를 가졌다는 점 그리고 IT 업계에서 오래 있다가 은퇴를 했다는 것 그리고 산복도로가 너무 마음에 들어 이곳에 무작정 터를 잡은지 2년 정도 되었다는 것이었다.

술은 늘 마시고 싶기도 하지만 갑자기 마시고 싶어지기도 한다. 그럴 때 일수록 은밀한 장소가 필요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친구도 애인도 부를 생각 없이 그냥 술잔 앞에 앉고 싶을 때 생각나는 술집은 그래서 소중하다.  그런 면에서 모티는 그런 조건을 아주 잘 갖춘 곳이다. 은밀한, 그러나 완벽한 풍경에 숨어있는 입지, 어두운 조명, 대화를 방해하지 않는 음악, 손님을 방해하지 않는 노련한 주인장. 내가 부산에 살았다면 느닷없이 비가 쏟아지거나 모처럼 일찍 잠들어 자정 무렵에 잠이 깼거나 실연을 당했거나 하는 날에는 어쩔 수 없이 이 곳 바에 앉아 있었을 것이다.

대여섯 잔의 술을 마시고 나는 다시 타임머신을 불렀다. 때늦은 시간의 한적한 도로변이었지만 택시는 의외로 자주 다녔다. 타임머신에 올라서 나는 아마 이곳을 다시 찾을 일은 없을 것이란 생각을 했다. 부산에 살고 있지 않고 위스키나 꼬냑 같은 술을 그다지 즐기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모티라는 장소와 주인장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 오랜 시간 이야기를 나누지 않았지만 그 시간, 그 공간에서 느꼈던 느낌, 그러니까 굳이 촌스럽게 말로 풀어보자면 영원히 만날 수 없는 평행선 같은 인연이라도 언젠가는 스쳐지나갈 수 있다는 믿음 그리고 그런 장소를 만들고 싶었던 애처로운 공감을 몇 잔의 술로 나누었다고 나는 생각하기 때문이다.

싱글 몰트 바 Mottie

Canonet QL17 / FUJI C200

부산 2017.7